메인콘텐츠/Life

지하철지연증명서 발급방법 및 조건 주의사항

파파엘 2024. 11. 21. 16:32

지하철지연증명서 발급방법 및 조건 주의사항

출근시간에 지하철이 지연되어 회사나 학교에 늦는 일이 발생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때 가만히 있으면 안 됩니다. 반드시 지하철 지연증명서를 발급받아 제출해야 합니다. 이 증명서는 공식적인 문서인 만큼, 대부분의 기관에서 인정하는 서류입니다. 

서울교통공사 지연증명서 발급
코레일광역철도 지연증명서 발급

 

[1] 지하철 지연증명서 발급방법

온라인 발급 전 확인

서울교통공사 홈페이지, 코레일 한국철도공사 홈페이지에서 간편지연증명서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서울교통공사는 서울시내 구간에 해당하며, 코레일 한국철도공사는 광역철도 구간에 해당합니다.

서울교통공사 노선

  • 1호선: 상행선, 하행선
  • 2호선: 내선, 외선
  • 3호선: 상행선, 하행선
  • 4호선: 상행선, 하행선
  • 5호선: 방화행, 하남검단산행, 마천행
  • 6호선: 응암순환행, 봉화산행
  • 7호선: 장암행, 온수행, 석남행
  • 8호선: 상행선, 하행선 
  • 9호선: 상행선, 하행선

코레일 광역철도 노선

  • 1호선: 소요산방면, 신창방면, 인천방면
  • 3호선: 대화방면, 오금방면
  • 4호선: 당고개방면, 오이도방면
  • 경의중앙선: 문산방면, 용문방면, 서울방면
  • 수인분당선: 왕십리방면, 인천방면
  • 경춘선: 상봉/청량리방면 춘천방면
  • 경강선: 판교방면, 여주방면
  • 동해선: 부전방면, 태화강방면
  • 서해선: 대곡방면, 원시방면

 

지연증명서 온라인 발급방법

탑승한 지하철을 확인하셨나요? 아래의 바로가기 버튼으로 이동하세요. 해당 페이지에서 날짜를 선택하고 열차별 지연정보를 클릭하여 증명서를 출력하세요.

서울교통공사 지연증명서 발급
코레일광역철도 지연증명서 발급

 

그 외 도시지하철

각 지역의 교통공사 홈페이지 방문하거나 역무실에 직접 문의하셔야 합니다.

그 외 지하철 지연증명서 발급
  • 홈페이지 출력: 신림선, 신분당선, 공항철도, 우이신설, 의정부경전철, 김포골드라인, 인천지하철, 서해선, 대전지하철
  • 고객센터/역무실 문의: 용인에버라인, 대구지하철, 광주지하철, 부산지하철

 

역무원 발급

지하철 지연증명서 온라인 발급이 어려운 경우, 지연이 발생한 역의 역무실에 직접 문의할 수 있습니다. 다만, 역무원 발급은 실시간으로 처리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지하철 지연증명서 주의사항

① 서울교통공사 및 코레일 광역철도 모두 5분 이상 지연되었을 때 지연증명서를 발급할 수 있습니다. 그 외 지하철은 지연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② 지하철 지연증명서는 회사, 학교 등 대부분의 기관에서 지각 사유로 인정합니다. 하지만, 기관의 규정에 따라 인정되지 않을 수도 있으니, 발급 전에 인사담당자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③ 서울교통공사는 최대 30일, 코레일 광역철도는 최대 7일의 기록만 제공합니다. 사고 후 빠른 시일 내에 지하철 지연증명서를 출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④ 지연증명서는 외부에 공개되는 것이 불법입니다. 홈페이지, 블로그, SNS에 공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교통정보 꿀팁

 

실시간 교통정보 도로 CCTV 확인방법 4가지(네이버지도, 카카오맵, 도시교통정보센터, 국가교통정

저는 운전을 하기 전 반드시 지도앱을 열고 도로 CCTV로 교통정보를 확인합니다. 자주 지나가는 길이라도 특정 시간이 되면 막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데요.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도로 CCTV 확인

anythingtip.tistory.com

 

착한운전마일리지 신청 및 사용방법 (무사고, 무위반 기준)

운전자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착한운전마일리지를 아시나요? 교통법규를 잘 지키겠다는 서약서를 작성하고, 1년 동안 잘 지키면 10점의 마일리지를 적립하는 제도입니다. 아래 내용 확인하

anythingtip.tistory.com

 

자동차 운전면허 적성검사 인터넷 신청, 면허 갱신 준비물, 미갱신 과태료

자동차 운전면허 갱신이 얼마 남지 않은 분들 계시죠. 면허갱신을 하지 않은 상태로 운전하면 과태료가 발생하고, 납부기한 내 과태료를 내지 않으면 최대 77%까지 불어납니다. 또, 적성검사 만

anythingtip.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