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감임박! 청년 부담 덜어주는 2025년 청년월세 특별지원 신청 방법 총정리
청년들의 주거 안정과 월세 부담을 줄이기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금’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2025년 2월 25일을 마지막으로 신청이 종료되고, 대상자로 선정되면 2027년 12월까지 지원금을 받습니다. 세부내용 확인하시고, 대상자라면 마지막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 2025년 청년 월세 지원금 지원대상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금은 만 19세에서 34세 사이의 무주택 청년을 대상으로 합니다. 부모와 독립하여 거주하는 경우에만 신청할 수 있으며, 소득 기준이 적용됩니다.
지원금은 최대 24개월 동안 월 최대 20만 원까지 지급됩니다. 다만, 주거급여 수급자는 해당 급여액을 차감한 금액이 지원됩니다.
주요 지원 조건
- 연령 기준: 신청 당시 만 19세 ~ 34세.
- 독립 거주 무주택자: 부모와 별도 거주 및 주택 소유 이력이 없는 자.
- 소득 기준: 청년가구(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원가구(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청약통장 가입 여부와 임차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월세 70만 원 이하의 주택 거주 여부도 확인
2025년 기준 중위소득 및 청년월세 지급기준
구분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기준 중위소득 (중위 100%) |
2,392,013 | 3,932,658 | 5,025,353 | 6,097,773 | 7,108,192 | 8,064,805 |
청년월세 지급기준 (중위 60%) |
1,435,208 | 2,359,595 | 3,015,212 | 3,658,664 | 4,264,915 | 4,838,883 |
2,392,013 | 3,932,658 | 5,025,353 | 6,097,773 | 7,108,192 | 8,064,805 |
※ 7인 이상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 1인 증가시마다 868,595원씩 증가
※ 7인가구: 8,933,400원, 8인가구: 9,801,995원
2) 2025년 청년 월세 지원금 신청방법
이번 지원금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두 가지 방식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기간은 2025년 2월 25일까지입니다. 늦지 않게 서류를 준비해 신청하세요.
오프라인 신청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서를 작성하면 됩니다. 본인이 직접 신청하는 것이 원칙이나, 불가피한 경우 대리 신청도 가능합니다. 대리인은 배우자, 직계 존비속 등으로 제한되며, 위임장과 신분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온라인 신청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로그인 후 '복지급여 신청' 메뉴에서 진행하면 됩니다.
3. 2025년 청년 월세 지원금 선정 기준
신청자 중 지원 대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소득, 자산, 주택 조건 등이 면밀히 검토됩니다.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득 기준 충족 여부.
- 월세 70만 원 이하, 임차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주택 거주 여부.
- 동일 조건 시, 경제적 취약 계층 우선 선정.
4. 결론
이번 ‘2025년 청년 월세 지원금’은 주거비 부담을 덜고, 청년들의 경제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한달 월세가 부담스러운 분들이 신청할 가치가 있는 제도인데요. 자세한 내용과 신청은 복지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