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DeepSeek)와 챗지피티(ChatGPT) 모두 인공지능 기반의 대화형 모델입니다. 하지만, 경쟁모델인 만큼, 좀 더 나은 모델이 있을 수밖에 없겠죠.
딥시크가 설명하는 챗지피티 차이점
뉴스 기사를 보면 딥시크는 '특정 분야의 전문성'에 초점을 맞췄고, 챗지피티는 '범용적인 작업'에 초점을 맞춘 모델이라고 합니다. 공식적으로 확인된 내용은 아니지만, 딥시크에서 공개한 언론자료일 확률이 높습니다.
블로거라면 챗지피티
IT, 연예, 영어교육 등 몇가지 주제를 두고 딥시크와 챗지피티를 사용해 봤습니다. 그 결과, 아직까지는 챗지피티가 딥시크보다 낫다는 평가입니다. 용어의 정의, 개념 정리 등은 비슷합니다. 반면, '이슈 콘텐츠'처럼 최신 정보가 필요한 경우는 확실히 챗지피티가 좋습니다.
(왼쪽) 딥시크, (오른쪽) 챗지피티
실제로 2024년 연예대상 정보, 에어부산 화재 소식 등을 동일하게 요청했습니다. 챗지피티는 최신 정보를 추출하였지만, 딥시크는 2023년 데이터에 머물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