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링규칙, 상대 스톤보다 더 가깝게 던지는 전략스포츠
소치올림픽에서 컬링이 인기스포츠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여자 컬링팀의 선전은 기본이겠지만,
여기에 뛰어난 외모까지 갖춰 그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컬링을 재미있게 보려면 무엇을 알아야 할까요?
중세 스코트랜드 주민들이 얼음판 위에서 돌덩이를 미끄러트리는 놀이에서 출발한 컬링은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이 된 스포츠입니다.
이미 캐나다와 미국, 유럽, 일본 등의 나라에서는 생활스포츠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컬링은 동계스포츠 중 대표적인 팀스포츠로 꼽히며,
한 팀이 5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가대표역시 팀으로 선발하게 됩니다.
컬링의 경기방법은 이렇습니다.
총 10엔드로 구성되고 4명의 선수가 출전을 합니다.
각 선수들은 리드, 세컨드, 써드, 스킵의 명칭으로 분류되며
순서대로 8개의 스톤을 번갈아가며 던집니다.
1엔드는 선후공을 결정하지만,
2엔드부터는 각 엔드에서 진팀이 후공을 하여 유리한 경기를 하게 됩니다.
점수를 얻는 방법은 하우스(원) 중심에 상대방의 스톤보다 더 가까이 있는 스톤의 수를 집계합니다.
예를 들어, 하우스의 중심으로부터 상대방의 가장 가까운 스톤의 거리 안에
우리팀의 스톤이 2개가 들어있다면 2점을 획득하는 방식입니다.
스톤의 무게는 약 20kg정도 됩니다.
빙판을 스위핑(빗질)하여 공을 더 멀리 보낼수 있고,
각도에 따라 회전을 줄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후공이 유리하기 때문에 상대의 스톤을 밀내거나
가드를 세우는 등 전략적 플레이가 중요합니다.
이런 전략적 요소로 인해 '빙판위의 체스'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현재 소치올림픽에서는 우리나라 경기도청팀이 출전하고 있으며,
과거 유치원교사로 일했던 이슬비선수가 화제를 모으고 있죠.
앞으로 남은 예선 풀 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한국 컬링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