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24는 사용자 인증 보안수준을 강화하기 위해서 복합인증을 이용합니다. 모든 정보에 복합인증이 필요한 것은 아니며, 민감한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류를 발급할 때 사용합니다. 그런데, 복합인증 등록이 은근히 까다롭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시죠.
정부24 복합인증 등록방법
정부24에서 제공하는 복합인증은 ①인증서+전화번호 인증, ②보안토큰 인증 2가지입니다. 다만, [보안토큰]은 일반인에게 익숙하지 않은 인증방식이니, 실제로 [인증서+전화번호 인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인증서는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를 사용합니다. 인터넷 뱅킹을 이용한다면, 두 개의 인증서 중 하나는 갖고 계실 겁니다. 정부24를 간편인증으로 이용하셨던 분이라면, 이번 기회에 공동 또는 금융인증서를 등록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복합인증은 모바일에서는 되지 않습니다. 정부24 홈페이지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본인인증 과정에서 주민등록증 발급일자가 필수로 필요합니다. 주민등록증을 가지고 있다면, 정면 하단의 발급일자를 입력하세요. 반대로, 주민등록증이 주변에 없다면 정부24에서 빠르게 확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아래 내용을 확인하세요.
1. 정부24 로그인 후 [인증센터 → 복합인증 관리]로 이동합니다. 가장 먼저 [복합인증 등록]을 해야 합니다.
2.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동의 항목입니다. 전체 항목에 동의하세요.
3. 기본정보입력 및 인증서 인증 항목입니다.
정부24에 로그인한 상태이니 성명, 아이디, 이메일은 표시됩니다. 마지막 주민등록번호만 직접 입력하시면 됩니다.
4. 주민등록증 진위확인 항목입니다.
내국인 또는 외국인 및 미성년자를 선택합니다. 내국인은 주민등록증 진위확인 절차가 필요합니다. 외국인 및 미성년자는 본인서명확인서 발급을 위한 경우에만 복합인증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5. 주민등록증 진위확인을 위해서, 주민등록증 발급일자를 입력해야 합니다. 재발급했다면, 가장 마지막에 발급한 날짜를 입력하면 됩니다.
만약, 주민등록증이 어디 있는지 모르는 분들은 정부24에서 온라인으로 확인하시면 됩니다.
6. 복합인증수단 및 정보 등록 항목입니다.
정보 수정을 위해 이메일을 반드시 입력해야 하고, 추후 진행할 휴대폰 인증을 위해 전화번호를 입력합니다.
7. 복합인증수단 및 정보 등록완료 항목입니다.
방금전 입력한 전화번호를 통해 인정번호를 입력하게 됩니다. 이 과정까지 진행했다면, 복합인증 등록절차가 완료된 것입니다. 이제 확인을 누르고, 복합인증으로 다시 로그인합니다.
8. 정확하게 등록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복합인증으로 로그인 합니다.
9. 복합인증 등록과정에서 입력한 전화번호를 선택합니다. 이후 해당 번호로 인증 연락이 옵니다. 전화 멘트로 인증번호를 알려주기 때문에, 먼저 메시지를 듣고 인증번호를 입력하셔야 합니다.
10. 전화인증까지 마치면, 복합인증으로 로그인됩니다. 이후 주요한 민감정보가 포함된 개인정보 문서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필수정보로 공동인증서(금융인증서)와 주민등록증 발급일자를 말씀드렸는데요. 복합인증을 하기 전에, 두 정보를 먼저 챙겨두셔야 합니다.
정부24를 간편인증으로 이용하셨던 분은 공동 또는 금융인증서를 먼저 발급하시고요. 주민등록증 발급일자도 미리 확인하셔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복합인증이 상당히 귀찮아서 포기하실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