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친절한 파파엘 Life

2025년 자동차세 미리납부 5% 할인받기, 세금 절약하는 자동차세 연납신청

대박소식입니다. 2025년 자동차세 미리납부 할인요율이 5%로 유지됩니다. 원래 계획은 3%로 줄이는 것인데, 납세자 편의를 위해서 2024년도와 동일한 5%를 공제합니다. 저도 작년에 자동차세 연납신청으로 세금을 소소하게 절약했습니다.

자동차세 연납신청하기➲

 

자동차세 연납신청 방법

자동차세 연납신청과 납부는 위택스(wetax.go.kr)에서 가능합니다. 연납신청 기간에 위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첫 화면에 간소화 화면이 표시됩니다. 복잡하게 검색할 필요 없이 간소화화면을 보고 이동하면 편리합니다.

 

다만, 서울 거주자는 방식이 조금 다릅니다. 자동차세 납부는 위택스에서 하지만, 연납 신청은 '서울시 이택스'(etax.seoul.go.kr)에서 해야 합니다.  

(왼쪽) 위택스, (오른쪽) 서울시 이택스

 

위택스 자동차세 연납신청

서울 거주자가 아니라면 위택스에서 연납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저도 경기도 주민이다 보니 위택스에서 신청을 했는데요. 가장 중요한 점, 반드시 '자동차 등록지'를 알고 계셔야 합니다.

 

연납신청 할 때 헤매지 마시라고, 제가 작년에 신청했던 정보를 보여드립니다. 미리 참고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자동차세 연납신청 방법(위택스)

 

2024년 자동차세 연납신청 및 납부 완료, 신청기간 및 주의사항 확인하세요

2024년 자동차세 연납신청 페이지가 열렸습니다. 신청기간은 1월 16일부터 1월 31일까지이며, 위택스(Wetax)에서 가능합니다. 올해가 법령상 5% 공제율을 받는 마지막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저는 사

anythingtip.tistory.com

 

 

자동차세 연납할인 5%? 4.6%? 

자동차세 연납신청의 공식 공제율은 5%입니다. 그러나 실제 세금을 계산할 때는 약 4.6%로 계산이 됩니다. 이렇게 수치가 다른 이유는 '공제율 계산법'에 있습니다.

 

자동차세 공제율은 납부기한의 다음달부터 12월 말까지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1월에 자동차세 연납신청을 한다면, 2월~12월까지 일수를 1년으로 나눈 후 공식 공제율을 곱합니다. 

 

✅ 자동차세 연납 공제율

납부월 계산법 공제율
1월(1.16~1.31) 334일(2월~12월) ÷ 365일(1년) × 5% 4.57%
3월(3.16~3.31) 275일(4월~12월) ÷ 365일(1년) × 5% 3.76%
6월(6.16~6.30) 184일(7월~12월) ÷ 365일(1년) × 5% 2.52%
9월(9.16~9.30) 하반기 자동차세의 약 2.5%

 

자동차세 연납신청은 1년에 4번 있습니다. 같은 계산법으로 1월, 3월, 6월의 자동차세 연납할인 요율이 결정됩니다. 반면, 9월 연납신청은 하반기 자동차세의 약 2.5%가 계산됩니다.

 

아쉽게도 자동차세 연납신청은 2025년을 끝으로 사라집니다. 아직 자동차세 할인을 한 번도 못 받은 분이라면, 인생 마지막 기회에 참여해 보시죠. 1차 신청은 1월 16일~31일까지 위택스에서 가능합니다.

자동차세 연납신청하기➲

 

자동차 관련 인사이트

 

2024 자동차세 납부확인서 출력 및 납부내역조회 방법

2024년 6월은 자동차세 납부의 달입니다. 자동차세는 위택스에서 납부하면 되는데요. 홈페이지가 개편되어서 조금 헷갈릴 수 있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서 자동차세 납부시기, 납부방법, 납부내역

anythingtip.tistory.com

 

자동차세 계산방법, 일반승용차는 구입시기·차량용도·배기량(cc) 확인은 필수

지난 6월 자동차세 고지서를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생각보다 금액이 많았기 때문이죠. 대체 어떤 기준으로 자동차세가 계산되는 걸까요? 자동차세 계산방법에는 몇 가지 정보가 필요한데요. 일

anythingtip.tistory.com

 

5인승 자동차도 차량 소화기 의무, 어떤 소화기를 구매해야 하나?

2024년 12월 1일부터 차량용 소화기 의무화가 시작됩니다. 24년 12월 1일 이후 제작·수입 및 소유권 이전된 5인승 이상 차량이 대상인데요. 경차, 세단, SUV 등 대부분이 5인승 이상이기 때문에 무조

anythingtip.tistory.com

 

자동차 운전면허 적성검사 인터넷 신청, 면허 갱신 준비물, 미갱신 과태료

자동차 운전면허 갱신이 얼마 남지 않은 분들 계시죠. 면허갱신을 하지 않은 상태로 운전하면 과태료가 발생하고, 납부기한 내 과태료를 내지 않으면 최대 77%까지 불어납니다. 또, 적성검사 만

anythingtip.tistory.com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